전체 글 1106

[사주명리] 간여지동(干如支同)이란?

[사주명리] 간여지동(干如支同)이란? 간단히 말해서, 간여지동이란 것은 일간과 일지가 같은 오행으로 되어있는 것을 말합니다 일간과 같은 음양으로 되어있으면 비견 일간과 다른 음양으로 되어있으면 겁재 즉 비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간여지동은 비겁의 특성을 지녔기에 자기 주장, 고집이 강합니다 타인을 믿지 않아서 배척하고 자기자신만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가 인정하고 좋아하는 소수의 사람만 가까이 두려 하고 싫은 사람은 상종도 안하는 등 폐쇄적인 인간관계를 추구합니다 인간관계를 구축하는데 얽매이지 않고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자기애가 지극하고 자신감에 차있습니다 자기를 방해하려하거나 억압하려는 사람은 결국에는 무시해버리고 단절시켜버리는 냉정한 면모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외로움을 피할 수가..

카테고리 없음 2022.08.28

[사주명리] 재성(정재, 편재)이 용희신 또는 기구신일 때

[사주명리] 재성(정재, 편재)이 용희신 또는 기구신일 때 십성 중 재성은 고전으로부터 정・편을 구분하지 않고 둘 다 길신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인간에게 있어 재성이란 건 매우 중요합니다 재성은 남, 녀를 가리지 않고 공통적인 육친으로는 아버지 여성에게는 시어머니를 나타냅니다 남, 녀 공통적으로 재물로 분류하고 있으며 더 자세히 들어가보면 어떤 일에 대한 목표와 결과를 말해주기도 합니다 인간이 돈 없이 살 수가 있을까요? 현대 사회에서는 재물을 삶에 있어 최고로 쳐주며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어합니다 남명에게 재성은 돈과 여자를 말합니다 애석하게도 고전으로부터 현대까지 돈과 여자는 항시 같이 따라온다는 걸 말해주는 방증인 셈입니다 그 중에서도 정재(正財)의 용희신과 기구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재는 항상..

사주팔자 2022.08.27

[사주명리] 식신 상관이 용희신, 기구신으로 작용할 경우

[사주명리] 식신 상관이 용희신, 기구신으로 작용할 경우 식신 상관, 즉 식상이 용희신으로 작용할 경우와 반대로 기구신으로 작용할 경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식신은 사길신 중의 하나로써 의식주의 풍요로움과 건강의 상징입니다 식신은 무엇보다도 칠살을 제살할 수 있는 유일한 십성이기도 하죠 고전에서는 식신이 칠살을 제거해주면 일생이 풍요롭고 무탈하며 건강하게 산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현재까지도 유효한데 편관이 칠살로 둔갑하는 것은 식신이 없을 때 일간을 무자비하게 공격하면서 비로소 칠살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신이 용희신이 되면 고전에서도 그렇거니와 현재까지도 복을 받는다 하여 좋게 여기고 있습니다 반대로 식신이 기구신이 될 경우에는 일은 잘 벌이는데 끝마무리를 짓지 못하고 작심삼..

사주팔자 2022.08.26

자평진전 - 인수격(정인, 편인)의 특징

인수격(정인, 편인)의 특징 인수격이란.. 월지에 인성이 격국을 이룬것을 말합니다 정인, 편인 둘을 구분짓지 않고 일간을 생해주므로 귀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인수격은 편관이 있더라도 능히 감당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일간이 신약하고 식신이 없는데 편관이 자리잡고 있으면 일간이 편관의 위협을 곧장 받게 됩니다 하지만, 인수격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면 인성이 편관의 기세를 약화시키므로 일간을 보호해 줄 수 있어 좋습니다 일간이 강하고 인수격이 약하다면 일간의 기세가 인성을 더 약화시키므로 편관이 인성을 도와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만약에 일간의 기세가 강하고 인수격도 강한데 편관까지 있으면 고독하고 가난한 팔자를 면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인수격인데 식상이 있는 경우 식상이 정관을 공격하지만 인성이 식상을 극하므로..

사주팔자 2022.08.25

사주 합이 많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사주 합이 많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사주에서 합이란것은 충, 형과 같이 다소 부정이기보단 긍정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남,녀간의 궁합을 볼 때도 천간과 지지합의 여부를 따져보고 무엇보다 사주원국내 천간, 지지합이 있다면 사람이 다정다감하고 나쁜 사람이 없다고 일컬어집니다 합이란것은 천간합,지지합(육합), 암합, 방합, 삼합 이 있습니다. 가령 내가 필요한 용신이 식신인데 일간을 제외한 곳에서 합이 되어버린다면 식신의 성질이 다른것으로 바뀌어 버립니다 이를 합거 또는 기반이라고 합니다 나한테 필요한 기운을 쓸 수가 없으니 좋다고 할 수가 없습니다 삼합을 예로 들어봤을 때 병화일간, 나머지 원국에 화가 한개 있고 지지에 인오술 삼합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사주는 불바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주에서는 오행의 기운이..

사주팔자 2022.08.24

식신격에서 운을 취하는 방법

식신격에서 운을 취하는 방법 식신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세의 균형입니다 식신격은 일간의 힘을 설기하므로 일단은 신강해야 합니다 신약하다면 일간의 설기를 감당하기가 힘드므로 격국의 질이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격국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일간과 격국, 상신의 기세가 조화를 이루어야 좋습니다 여기에는 기세가 모두 강한 것이 좋으며 기세가 모두 약하다면 격국은 힘을 발휘하기 어려우므로 격국의 질은 떨어지고 부귀와는 거리가 멀게 됩니다 일간과 식신격 그리고 상신의 기세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격국이 탁하게 되어있는데 운에서 부족한 기세를 도와준다면 그 운에는 격국의 기세가 균형을 이루므로 격국이 맑아지며 상승운세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사주팔자 2022.08.23

[사주명리] 월지로 보는 부모운

[사주명리] 월지로 보는 부모운 부모운을 볼 때 가장 우선시되는 주는 월주입니다 월지에 사길신이 놓이면 기본적으로 부모운이 좋다고 하였습니다 사길신 중에서도 첫째는 정인(正印)입니다 훌륭한 어머니 밑에서 지원을 받으며 사회적, 도덕적으로 인정받는 사람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정재(正財)입니다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세번째는 월지 식신(食神)입니다 긍정적인 사고로 삶을 즐기는 기운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은 정관(正官)입니다 정관은 부모운의 혜택이 유형적이 아닌 무형적이며 이를 잘 발휘하느냐 마느냐의 확률도 반반입니다 이것을 종합해보면 정인,정관,정재,식신 중 하나가 월지에만 있고 이것이 용희신이면서 형,충,공망에 이르지 않아야 합니다 반대로 사길신이..

사주팔자 2022.08.22

용신의 패격이란 - 자평진전

용신의 패격이란 - 자평진전 용신의 패격이란? - 완전한 격국을 완성시키지 못하고 극이나 형,충 등 방해를 받아 실패하는 형국을 말합니다 이를 두고, 파격이라고 하며 격국이 깨졌다고 말합니다 용신은 상신과 결합하여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기세의 태과불급에 의하여 기세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용신, 상극을 극제하여 파괴할 경우에 격국은 성립될 수 없으므로 이를 패격 또는 파격이라고 합니다 1. 정관격의 패격 정관격이 패격되는 원인은 극을 당하거나 형충을 당하여 상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정관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은 상관입니다 상관견관이라고도 하며 상관이 있으면 격국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격국이 깨지므로 패격이 됩니다 사주 상관견관이란? 사주 상관견관이란? 상관견관은 상관이 정관을 바라본다는 말로써 상관은 관..

사주팔자 2022.08.20

사주 격국론 정관격의 특징

사주 격국론 정관격의 특징 정관격이란 일간의 음양과 다른 자신을 극하는 세력을 말합니다 (음양이 같으면 편관입니다) 가령 갑목일간이라고 했을 때 월지에 유금이 오면 음양이 다르므로 정관격이 될 수가 있습니다 월지를 가장 우선적으로 보아야 합니다 다음은 월지의 지장간이 천간 정관에 투출되어있어야 합니다 정관격은 매우 존귀하다고 일컬어질 정도로 사주에서 귀하다고 판별합니다 품행이 바르고 단정하며 흐트러짐이 없는 깨끗한 모습입니다 규칙적인 생활을 중시하며 일탈을 하지 않으려하고 합니다 사주 구성에 따라 정관격의 쓰임새가 달라지는데 기본적으로 정관격이라 함은 급여를 받으며 일하는 직장인명입니다 정관격이 올바르게 쓰이려면 형.충.파.해를 만나지 말아야 합니다 정관격을 상하게 하므로 형충파해를 만나서는 안됩니다 정..

사주팔자 2022.08.19

천간합의 합거와 기반 <자평진전>

천간합의 합거와 기반 천간합의 합거와 기반이란 무엇인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합거란 천간이 합을 하여 그 쓰임새가 사라지는 것이고 기반이란 천간이 합을 하여 발이 묶여 옴짝달싹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甲 丙 辛 위 명식은 갑목일간이 신금의 정관을 용신으로 쓰지만 중간에 병신합을 하여 정관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甲 甲 己 년간에 기토(재성)이 있고 월간에 비견 갑목이 있다면 일간으로 오기전에 둘이 먼저 합을 해버리므로 월간 비견에게 기토를 빼앗겨버리는 형국입니다 이처럼, 합거하게 되어 사길신이 영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지만 반대로 사흉신 역시 힘을 쓰지 못하므로 꼭 나쁘다고만 볼 수는 없습니다 甲 庚 乙 갑목일간이 월간 경금(편관)에게 공격을 받게 되지만 년간 을목과 을경합을 하게 ..

사주팔자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