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FFEE 35

[커피이야기] 스페셜티 커피의 정의

[커피이야기] 스페셜티 커피의 정의 -스페셜티 커피란? 스페셜티의 정의는 딱 잘라 말하기가 애매모호 합니다 블루마운틴, 하와이안 코나 같은 커피가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앞서 말한 품종들은 '프리미엄 커피'로 다르게 분류하고 있습니다 스페셜티 커피는 각 나라마다 다르게 취급하고 있으며 통일된 하나의 정의가 없습니다 일본스페셜티 커피(이하 SCAJ)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붙습니다 1. 소비자가 든 손에 든 컵 속의 액체가 풍미가 뛰어난 맛을 지녀서 소비자가 맛있다고 평가하고 만족해야함 2. 풍미가 뛰어난 커피의 맛이란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산미 특성은 상큼하고 가벼우며, 뒷맛이 달콤하게 마무리 될 것 3. 커피 원두에서 컵에 담기기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일관적으로 체제, 공정, 품질 관리가 반드시..

COFFEE 2022.04.06

커피 원산지별 특징

커피 원산지별 특징 커피는 원산지별로 각각 다른 풍미와 향을 지녔습니다 그래서 커피의 세계가 재미있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요즘은 스페셜티를 시중에서 많이 판매하는데요 커피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원산지별로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알면 도움이 될 것 같아 포스팅 합니다 1. 인도네시아 아시아 최대의 커피 생산국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고가에 거래된다는 코피 루악(kopi luwak)의 생산지입니다 사향고양이가 커피체리를 먹고 난 배설물에 섞인 생두를 모아서 만드며 독특한 맛과 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확량이 많지 않아 고가에 거래됩니다 예멘모카와 자바커피를 블렌딩한 커피가 유명합니다 주로 로부스타종이 대부분이며 아라비카는 10% 내외입니다 주로 쓴맛이 강하며 바디감이 강하고 싱글오리진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블렌딩..

COFFEE 2022.04.02

커피 원두 에스프레소 세팅

커피 원두 에스프레소 세팅 이번에 원두가 바뀌어서 새로 에스프레소 세팅을 해야 합니다 새로온 원두라니.. 너무 설레었답니다😎 기존에 없던 베트남 원산지가 추가되었습니다 기존 원두는 아라비카 100%였지만 이번에는 로부스타가 추가되었네요 [coffee] 아라비카 로부스타 원두 품종의 차이점 [coffee] 아라비카 로부스타 원두 품종의 차이점 커피의 품종은 100여가지나 되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품종은 아라비카와 로부스타로 나누어 볼 수가 있습니다 이 둘의 특징을 간략하게 한번 leechar1212.tistory.com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의 차이점 포스팅 로부스타는 카페인 함량이 높고 커피의 쓴 맛을 좀 더 내줍니다 로부스타는 100% 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쓰고 카페인 함량이 높아 이렇게 블렌드용으..

COFFEE 2022.03.23

커피 추출 채널링이란?

커피 추출 채널링이란? -채널링(channeling) 커피를 추출 할 때 포터필터를 결합하고 난 뒤 머신에서 압력을 가해주면 물이 커피에 일정한 압력을 주며 커피가 고르게 추출되어야 합니다 커피 퍽에 크랙이 가거나 밀도가 한쪽으로 편중되어 약하거나 깨진 쪽으로 물이 흘러들어 추출이되면 바로 이 채널링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커피 맛과 향에 굉장히 안 좋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바리스타들이 굉장히 꺼려합니다 채널링 (channeling)이 나는 이유는 굉장히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원두 디게싱이 잘 안되어서 블렌딩한 원두의 밀도 차이가 서로 너무 달라서 그라인더 입자가 너무 굵어서 고르게 탬핑을 하지 못해서 물 온도가 너무 낮아서 등등.. 굉장히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그라인더에서 분쇄된 원..

COFFEE 2022.03.14

커피의 맛을 떨어뜨리는 요인 몇가지

커피의 맛을 떨어뜨리는 요인 몇가지 커피의 맛과 향미를 떨어뜨리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다 커피는 신선식품으로 분류되며 수확한 날이나 로스팅 날로부터 오래될수록 커피의 맛과 향이 떨어진다 그나마 다행인것은 커피는 오래되었다고해서 인체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는 드물다 다만 커피는 로스팅된 날로부터 오래될수록 불포화지방에서 포화상태로 바뀌게 된다 다음 중 커피의 맛과 향을 떨어뜨리는 여러 요소들 중 몇가지를 소개하기로 한다 1. 산소 산소는 커피의 맛과 향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써 커피 원두는 산소에 닿는 순간부터 빠르게 산패하기 시작한다 로스팅한 원두는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여 가스를 품고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산소와 접촉하게 된다 특히 분쇄된 원두가루는 생원두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산패하게 되..

COFFEE 2022.03.12

커피 블렌딩이란?

커피 블렌딩이란? 블렌딩(Blending)이란 두가지 이상의 원두를 섞어 한가지 원두의 부족한 향미를 보완하거나 맛의 손실을 최대한 막으면서 단가를 낮추는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블렌딩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추구하는 맛과 향을 얻기 위해서는 기존의 생두의 특성을 파악하고 있어야하고 커핑을 통해서 원두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야 블렌딩을 하기에 좀 더 수월해지겠습니다 바디감에 좀 더 치중하는 커피를 만들지 깔끔하고 산뜻한 커피를 만들지 산미에 힘을 실어줄지는 본인이 정해야 합니다 커피에 대해 데이터를 쌓고 공부를 해왔다면 보다 유리하겠죠 블렌딩에는 생두를 볶기 전에 하는 선 블렌딩 (Before Blending)과 생두를 볶은 후 원두를 블렌딩하는 후 블렌딩 (After Blending)이 있습니..

COFFEE 2022.02.24

디카페인 커피의 특징 및 생산법 (feat. 커피의 본질)

디카페인 커피의 특징 및 생산법 (feat. 커피의 본질) 디카페인(decaffein)커피는 본래 커피가 필히 가지고 있는 카페인 성분을 제거한 것으로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들을 위한 커피입니다 저도 일하다가 손님을 받으면 종종 디카페인 커피를 찾는 사람들이 종종 계셨었는데요 디카페인 커피는 생두의 수분기가 제거된 상태이고 로스팅 시간이 짧아 기존의 커피보다 향과 맛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로스팅을 할 시에 단계별 변화가 빠르기 때문에 유념하지 않으면 아까운 생두를 다 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디카페인 커피는 기존의 생두보다 가격이 2배정도 비쌀뿐더러 공정법도 달라서 개인카페에서는 취급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디카페인 커피를 최초로 발현한 사람은 독일의 커피 상인 '루드비히 로젤리우스' 이며 19..

COFFEE 2022.02.19

바리스타2급 과정 후기

바리스타2급 과정 후기 시에서 주관하는 바리스타2급 과정이 개설되어 수업을 들으면서 어제 바리스타2급 취득했습니다 아시다시피, 바리스타 1,2급 과정은 민간자격증입니다 때문에 바리스타1,2급은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어쨌든, 스케줄이 들쭉날쭉해서 직장을 다니면서 취득하기가 영 어려워서 잘됐다고 생각하고 등록했습니다 시에서 주관하기 때문인지 필기같은것은 무료로 진행되었고 실기시험도 시험검정비, 재료비 (18만원) 들어갔습니다 필기 같은 경우에는 바리스타 1,2급 통합으로 진행되었구요~ 필기는 한번 합격해놓으면 1급 수업을 들을때 실기만 보면 된다는 점! 필기 수업은 3개월 과정으로 일주일에 한번 (수요일 저녁 7시) 진행되었어요 커피의 역사부터 시작해서 에스프레소 추출과정, 기본적인 메뉴..

COFFEE 2022.01.30

카페 창업의 위험성 (저서 : 동네 카페 무작정 따라하기)

카페 창업의 위험성 (저서 : 동네 카페 무작정 따라하기) 직장인이라면 "카페나 해볼까?" 라며 달콤한 카페창업의 꿈을 가지는 사람이 상당수 많을 것입니다 누군가는 직장스트레스가 싫어서 누군가는 그냥 단순히 커피가 좋아서 누군가는 지시를 받는게 싫어서 등등..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사장님이 되고 싶어서 카페창업을 생각하는 사람도 대다수 입니다 커피를 좋아한다는 이유로 카페를 창업했는데 막상 차리려보니 어려움도 많고 복잡한 것이 많아 흥미를 잃는 사람도 많습니다 '카페는 엄연히 장사다' 카페는 문화생활이 아닙니다 위생, 커피맛, 인테리어 등 자신의 공간에서 물건을 팔고 이윤을 남기는 장사입니다 카페는 누구나 창업할 수 있는 업종인 만큼 경쟁자가 굉장히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내가 생각하는 것은 남들도 ..

COFFEE 2022.01.28

주요 커피 생산국

주요 커피 생산국 1. 브라질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30%나 차지하는 커피 최대의 생산국입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고도가 낮은 곳에서 생산되어 커피 밀도는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2. 콜롬비아 콜롬비아 커피는 마일드 커피의 대명사로서 고급 커피로 평가됩니다 안데스산맥의 해발 1,4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경작되며 아라비카 커피만 생각하며 모두 수세건조방법으로 가공됩니다 주요산지 : 뽀빠야, 아르메니아, 페레이라, 마니잘레스 만델린, 브라카망카 등입니다 3.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는 로부스타 커피의 경작은 불법행위로 간주하는 엄격한 커피생산으로 우수한 커피산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코스타리카를 대표하는 커피는 단연 '티라수' 입니다 유기농으로 경작, 생두의 크기는 크지 않으나 맛과 향은 최고급으로 평가됩니다 4..

COFFEE 2022.01.16